인터뷰>> 김종철 다문화정책과장 | 안산시다문화지원본부

인터뷰

인터뷰>> 김종철 다문화정책과장 | 안산시다문화지원본부

“관광객이 찾아오는 다문화특구 만들겠다”

전선지중화 사업전개, 15개국 상징 조형물도 설치

보도, 차선, 광고물, 노점상 정비, 쾌적환경 조성

“올해 연초 다문화정책우수기관으로 안산시가 행자부 장관상을 받았습니다. 자타가 공인하는 안산시에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지역이라고 하는데 한편으로는 책임감이 무겁습니다.”

 3073_3060_4811.jpg 
▲ 다문화지원본부 김종철 다문화정책과장

김종철 안산시다문화지원본부 다문화정책과장은 다문화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내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2차 기본계획수립<본지 10월1일자 보도>에 대한 사업을 구상을 설명했다.

안산시는 기존 외국인주민센터를 올 해 4월 20일자로 조직을 확대개편, 다문화지원본부로 격상하고 본부장으로 직급을 올리고 정책과, 지원과 등 2개과로 나눴다. 다문화정책과는 정책을 개발하고 다문화지원과는 복지 등 지원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김 과장은 “정책과는 다문화특구 13만 평에 대한 발전계획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계획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개년간 총 3개분야 10개 사업을 추진해 왔다”며 “지금까지 총 170억 원 정도 예산이 투입됐고 향후 2차 5개년 개발계획을 추진 중인데 첫 번째 사업으로 특구 내 전선지중화를 추진하고 있다. 골목골목 엉켜 있는 전선줄을 정리하지 않고는 아무리 상징성 있는 시설이나 건축물을 집어 넣는다 해도 표시가 안난다. 그래서 3년에 걸쳐서 한전하고 각각 50%씩 부담을 해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로 지중화 사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게 마무리되면 동시에 보도환경개선, 차선 일방통행로 지정, 광고물정비, 노점상 정비, 이런 것들을 병행해서 특구 지역이 완전히 깔끔하게 정비하는게 목표”라고 말했다.

다문화특구를 관광벨트로 만들기 위한 방안도 구상하고 그에 따른 인프라구축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90개국 8만3,000여 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는데 이 지역에 국내외서 다시 애들 손잡고 찾아올 수 있는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 좀 상징성 있는 것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태원이나 차이나타운, 부산 깡통시장을 벤치마킹 했고 전주한옥마을처럼 여기도 거기 못지않게 특색있는 다문화특구로 만들어 보겠다. 그래서 주민 분포도가 15위 이내 드는 국가를 기준으로 그 나라의 상징물을 특구 중간 중간 요소요소에 설치해서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환경문제에도 신경을 쓰기로 했다. 부부로변 주차장 인근 지역을 정비해서 메타세콰이어 길 같은 것도 조성하고 차 없는날 운영이라던가 지역주민과 클린운동을 벌여서 쓰레기를 근절시킨다는 방침이다.

김 과장은 “2차 5개년 계획에 약 120억 원 정도 예산을 계획을 하고 있고 지금 중기지방재정계획에 100억 원 이상 되면 중앙심사를 받아야 되는데 현재 경기도에서는 심의를 마친 상태이며 중앙심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 과장은 “90일 이상 장기체류자로 외국인 등록증을 받은 사람을 120만 명으로 보는데 그 중에서도 우리 동포라든가, 고용허가제로 들어와 실질적으로 근로활동을 하는 사람은 약 85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대부분 3D업종에 근무하는 고려인동포 아니면 중국동포 근로자들”이라며 “그런데 문제는 외국이 정책이 부처별로 분산이 되어 있다보니 통일이 되지 않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이민청이라던가 이런 부서가 없다. 그렇다보니 여가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행자부 등 통계가 각각 다 틀린다. 그렇다보니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또 “다문화가족의 예를 들면 결혼이민자가 이곳에 정착해 사는 사람들인데 그 사람들이 아이들부터 고부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한가족안에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 청소년이나 아동분야만 따로 업무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보니 아동청소년이 다문화가족안에 겹친다”고 지적했다.

김 과장은 “동포문제인데 이 분들에 대한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재외동포법에 의해서 여기와서 거주하면서 2세, 3세까지 들어오게 문을 열어 놨지만 체류기간은 3년인데 1년 10개월 연장하는 식으로 최장 4년 10개월만 머물 수 있는 제도인데 이 정책은 문제가 있다”며 전향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 분들이 만기 체류 끝나고 돌아가면 민간외교사절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분들인데 이 분들을 위한 마땅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동포 문제에도 한국사회가 소홀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중국동포들은 국가정책에 따라서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재외동포법에 의해서 한국에 거주하며 2세, 3세 까지 들어오게끔 문을 열어 놨는데 이 분들은 체류 기간이 3년인데 계속 연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분들은 다문화가 아닌 동포이기 때문에 정부가 마땅한 제도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결혼이민자든 외국인이든 동포가 되든 이 분들이 가장 어려운 문제는 한국어이다, 이 나라에서 먹고 살려면 한국어를 배워야지 모든 임금과 생활 상식들을 다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 공부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함께 살고 있는 외국인들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개선돼야 하며 과거 동남아 쪽에 가지고 있던 잘못된 편견이나 우리보다 못산다는 자만감 그런 그릇된 사고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며 “다문화지원본부가 방법을 찾아서 완충역할을 해 주는 사업들을 착실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원준 기자


profile_image
[ 다문화일보 ] 김판수 기자
kr123456-com@naver.com
저작권자 © 다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